본문 바로가기
텃밭일기

2024년 김장 배추 심는 시기 및 재배방법 알아보기

by 텃밭일기 2024. 6. 26.
반응형

 

 

김장 배추는 일 년 텃밭 농사에서 중요도가 가장 높은 작물 중 하나라고 볼 수 있습니다.

 

김장 배추는 텃밭 공간이 많이 필요로 하고 8월에 심을 수 있는 작물들이 많이 있기 때문에 7월에는 텃밭 공간 계획과 미리 밑거름 작업을 통해 미리 텃밭을 만들어 주어야 합니다.

 

오늘은 김장 배추 심기 전 해야 하는 일과 심는 시기 및 재배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2024년 김장 배추 심는 시기 및 재배방법 PDF 글 다운로드]

2024년 김장 배추 심는 시기 및 재배방법 알아보기.pdf
0.40MB

 

 

■ 김장 배추 재배환경

배추는 서늘한 기후를 좋아하는 채소입니다.

 

배추는 18~20℃ 온도에서 잘 자라며 15~18℃에서 포기가 잘 듭니다.

 

배추는 생육 초기에 높은 온도에서 잘 자라며 추위에 강한 작물입니다.

 

하지만, 영하 8℃의 온도에서는 얼어 죽게 되며 갑자기 날씨가 추워지면 영하 3℃에서도 작물 피해를 입을 수 있으니 배추 재배기간과 지역별 서리가 내리는 시기를 고려하여 심어 주어야 합니다.

 

또한, 저온에 일정기간 노출되었다가 고온으로 바뀌는 시기에 꽃눈이 올라와 배추를 수확할 수 없으니 주의해야 합니다.

 

 

■ 2024년 김장 배추 심는 시기

김장 배추 재배지역 파종 시기 모종 심는 시기 수확 시기
중부지방 8월 초순 ~ 8월 중순 8월 하순 ~ 9월 초순 10월 하순 ~ 11월 중순
남부지방 8월 중순 ~ 8월 하순 9월 초순 ~ 9월 중순 11월 초순 ~ 12월 초순

 

김장 배추는 본밭에 파종하게 되면 잎이 두껍고 거칠어져 맛이 떨어집니다.

또한, 무더운 8월에 본밭에 파종을 하게 되면 발아율이 떨어지고 충해 피해로 잘 자라지 못합니다.

 

따라서, 배추모종을 직접 키우거나 구입하여 심는 것이 좋으며 김장용 배추는 90일 배추를 심어 줍니다.

 

남부지방의 경우 8월 중순에 파종을 하여 육묘를 통해 9월 초순 ~ 9월 중순 사이에 모종을 심어주며

중부지방의 경우 8월 초순에 파종을 하여 육묘를 통해 8월 하순 ~ 9월 초순 사이에 모종을 심어줍니다.

 

중부지방의 경우 일반적으로 처서(24년 8월 22일, 목) 바로 이후에 모종을 심어줍니다.

 

 

■ 김장 배추 재배방법

파종방법(모종 키우기)

배추는 본밭에 직접 파종하는 직파재배도 가능하지만 김장 배추의 경우 8월 무더운 날씨에 파종을 하기 때문에 발아율이 떨어질 수 있어 모종을 키워 본밭에 심는 육묘이식재배 방법으로 진행하여야 합니다.

 

육묘상자 포트에 상토를 느슨하게 담아 배추 씨앗을 2~3 립 정도 넣고 씨앗이 충분히 덮이도록 상토를 덮어주고 유실되지 않도록 살짝 눌러줍니다.

 

햇빛이 잘 드는 곳에 두고 묘가 골고루 자랄 수 있도록 해를 보는 방향으로 가끔씩 돌려줍니다.

그리고 상토가 마르지 않도록 물 관리에 신경을 써주며 오후나 밤에 물을 주면 웃자를 수 있으니 물은 오전 시간에 주는 게 좋습니다.

 

본엽이 2~4매 정도 될 때까지 2회 정도 솎아주며 일반적으로 모종을 기르는 기간이 20~25일 정도이니 본밭에 모종 심는 시기를 계산하여 미리 포트에 파종을 해주어야 합니다.

 

 

밭 만들기

배추는 뿌리가 깊게 뻗고 잔뿌리가 많기 때문에 토심이 깊고 물 빠짐이 좋은 토양에서 잘 자랍니다.

 

배추는 pH 5.5 ~ 6.8의 약한 산성토양에서 잘 자라기 때문에 산성이 너무 강한 토양이라면 모종 심기 3~4주 전에 석회를 넣고 토양을 교정해 줍니다.

 

김장 배추는 초기 밑거름 작업이 전체 재배과정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합니다.

 

김장 배추 모종 심기 1~2주 전에 밑거름과 퇴비를 넣어 주고 토양을 섞어 줍니다.

(밭 10평 기준 : 요소 2.2kg, 용성인비 3.5kg, 염화가리 1.5kg, 퇴비 100kg)

 

이때, 벼룩잎벌레의 피해를 막기 위해 토양살충제를 함께 뿌려 주면 좋습니다.

 

 

밑거름 작업을 마친 텃밭에는 모종을 심기 위해 두둑을 만들어야 합니다.

대표적으로 두둑은 1열 재배 방식과 2열 재배 방식이 있습니다.

 

[1열 재배 방식]

김장 배추 둥근 두둑 1열 재배 방식
김장 배추 두둑 1열 재배 방식

김장 배추는 봄배추 포기 간격 보다 더 넓게 심어 줘야 합니다.

 

두둑 1열 재배방식은 두둑 너비를 70~90cm가 적당합니다.

 

 

 

 

 

[2열 재배 방식]

김장 배추 평두둑 2열 재배 방식
김장 배추 두둑 2열 재배 방식

평두둑 2열 재배 방식의 두둑 너비는 130~150cm가 적당하며 모종 심는 간격은 45~50cm가 적당합니다.

 

두둑 높이는 30cm 높이로 높게 만들어 줍니다.

 

 

 

 

 

 

모종 심는 방법(아주 심기)

김장 배추는 포트에 파종 후 본잎이 2~4매 정도 되었을 때 본밭에 옮겨 심어줍니다.

 

하지만, 모종을 직접 키우는 과정이 경험이 적은 농부들에게는 다소 어려울 수 있으니 모종을 구입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배추 모종은 50cm 포기 간격으로 심어줍니다.

 

모종을 심기 전에 토양에 물을 충분하게 주고 1~2시간 물이 빠진 상태에서 구덩이를 파고 심어주면 뿌리가 상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뿌리가 활착 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구덩이를 파고 모종을 심은 후 유기질 비료를 넣은 흙을 덮어 주면 배추 뿌리를 보호하는데 효과적입니다.

 

 

물 주기

배추의 성분의 90~95%가 수분으로 구성되어 있어 많은 수분이 필요로 하는 작물입니다.

 

배추는 토양이 건조하거나 마르는 경우 무름병이나 각종 병해 등 여러 가지 생리장해가 발생하고 잎의 하얀 줄기 부분이 지나치게 두꺼워져 맛이 떨어집니다.

 

또한, 품종이 작아지는 경우가 있어 물 주기 작업은 중요한 부분 중 하나입니다.

 

배추는 잎이 여러 겹으로 겹쳐서 둥글게 되는 결구 과정이 재배과정 전체에서 가장 많은 물이 필요로 하니 이 시기에는 충분한 물 주기를 해주어야 합니다.

 

배추 물 주기는 매일 주는 것보다 5일 간격으로 충분히 주는 것이 좋습니다.

 

 

웃거름 주기

속이 꽉 찬 배추를 얻기 위해서는 밑거름 이후에 중간중간 웃거름을 줘야 합니다.

 

배추 웃거름은 보통 모종을 심고 15일 간격으로 3번 정도 나누어 주지만 가을배추나 월동 배추는 모종을 심고 15일 간격으로 4번 정도 나누어 주는 것이 좋습니다.

비료명 1회 2회 3회 4회
요소 7 (kg/10a) 8 (kg/10a) 12 (kg/10a) 8 (kg/10a)
염화칼륨   7 (kg/10a) 8 (kg/10a) 7 (kg/10a)
추비 시기 정식 후 15일 정식 후 30일 정식 후 45일 정식 후 60일

 

정식 후 추비 시기에 맞추어 배춧잎 중 가장 긴 지점에 요소 비료 1숟가락을 뿌려주고 흙으로 덮어 줍니다.

 

웃거름은 비가 오는 날이나 비가 올 예정이라면 가스 장해를 받을 수 있기 때문에 피해 줍니다.

 

 

배추 생리장해

배추의 생리장해는 대부분 예방이 가능합니다.

 

배추 밭 만들기 과정에서 표준 시비량의 밑거름과 석회, 붕소를 넣어주고 적정시기에 웃거름을 준다면 생리장해는 충분히 예방이 가능합니다.

주요 생리장해 석회결핍증 붕소결핍증
증상 배추 잎의 끝 부분이 마르거나 배추 속이 녹는
현상이 나타남


수분의 양이 많거나 부족하여 영양분을 잘 흡수하지 못해 발생하기도 함
배추가 갈라지고 결구가 잘 되지 않으며 배추 속이 검게 썩게 됨

배추 잎에 갈색 반점이 생기기도 함

너무 과습하게 재배하거나 붕소흡수가 안될 때 발생함
방제방법 배추를 심기 전 토양에 석회를 넣어 땅을 중성화
해줌


석회결핍증이 발생하면 칼슘제를 물에 녹여
엽면시비를 해줌
붕소결핍증이 발생하면 붕사와 물을 500배액으로 옆면 시비를 해줌

 

 

병충해 방제

주요 병해 무사마귀병 부패병 뿌리썩음병
증상 병원균이 활물기생하며 혹 조직내에 휴면포자를 형성함

피해를 받은 조직이 파괴되면 1개의 편모를 갖는 유주자가 발생하여 뿌리털을 통해 식물체내로 침입함
봄 재배와 월동재배에서 주로 발생

결구 위 잎이 흑갈색으로 변색되면서 부패 함
여름철과 가을철 재배시 발생이 심함

어린줄기에 회백색 병반이 형성 되면서 뿌리쪽으로 퍼지며 시듬 현상
발생
방제방법 내병성 품종 선택

'혹안나'를 300평에 20kg을 살포

석회를 넣어 pH 6.0로 조정해서 재배
추운 해에는 피복 배수에 신경을 쓰고 발병된 포기는 바로 제거

 

 

주요 병해 무름병 균핵병 검은썩음병
증상 고온다습한 환경과 장마 후 많이
발생함


구 측면이나 상면에 발생하며 수침상으로 되다가 지속되면 오백색으로
물렁해지고 악취가 생김


질소과다와 배수불량으로 발생
상추나 콩 등의 후작에서 발생하기
쉬움


흐린 날이 지속되거나 비가 온 이후에 발생하기 쉬움

아래 잎 주변이 수침상으로 되고 진행되면 백색곰팡이가 생기고 썩음
비가 많이 온 이후에 발생이 심함

어린묘에서 발생하고 떡잎부터
흑변하며 고사함
방제방법 배수에 유의

동수화제 500배액이나 마이신류를 비가 온 후에 살포

발병된 포기는 바로 제거
결구개 시기에 로브랄, 스미렉스 등 살포 비가 지속적으로 온 이후에
동수화제, 보르드액을 살포

 

 

주요 충해 배추좀나방 도둑나방 배추흰나비 양배추가루진딧물
증상 잎 뒷면에 기생하여 표피만 남겨 놓고 식해함

어린묘 시기에 양배추 생장점을 먹어 심지현상 발생
먹는 양이 많은 벌레로
생육을 억제시킴


결구후기에 발생하여 상품성을 떨어뜨림
봄과 가을에 주로 발생하며 외잎을 식해함 잎의 뒷면에서 즙액을 흡즙하여 생육을 나쁘게 함

각종 바이러스병의 원인
방제방법 슈리사이드, 란네이트 등 유묘기부터 살포하여 초기부터 예방 사이아녹스, DDVP, 다이아지논 등을 정식 초기에 살포 DDVP나 일반 살충제로
살포
델타린유제 1000배액이나 아시트수화제 1000배액을 수확 2주전에 살포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