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텃밭일기

2024년 가을 케일 심는 시기 및 재배방법 알아보기

by 텃밭일기 2024. 6. 20.
반응형

 

 

케일은 양배추의 원동으로 양배추 재배방법을 참고하여 재배해 주시면 됩니다.

 

케일의 품종은 이용 목적에 따라 녹즙용 품종과 쌈채용 품종으로 나누어집니다.

녹즙용 품종은 줄기가 굵고 잎이 넓으며 쌈채용 품종은 줄기가 가늘고 잎이 부드러운 것이 특징입니다.

 

케일은 여름에 모종을 길러 가을에 수확하는 가을재배 케일이 봄 재배보다 맛도 좋으며 품질도 우수합니다.

 

오늘은 가을 케일 심는 시기와 재배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2024년 가을 케일 심는 시기 및 재배방법 PDF글 다운로드]

2024년 가을 케일 심는 시기 및 재배방법 알아보기.pdf
0.29MB

 

 

■ 가을 케일 심는 시기

케일 재배 작형 파종 시기 모종 심는 시기 수확 시기
봄 재배 3월 초순 ~ 4월 초순 4월 하순 ~ 5월 하순 6월 중순 ~
가을재배 6월 하순 ~ 7월 하순 7월 하순 ~ 8월 하순 9월 상순 ~ 11월 중순

 

케일 재배작형은 봄 재배와 가을재배가 있습니다.

하지만, 케일은 영하 15℃ ~ 영하 10℃의 저온에서도 동사하지 않는 내한성이 강한 작물이기 때문에 소규모 노지재배의 경우 짚이나 비닐 등의 피복을 통해서 월동을 거쳐 다음 해 3~4월에도 수확이 가능합니다.

 

케일은 온상에 종자를 파종하여 1~2개월간 육묘 과정을 거쳐 본엽이 4~5매로 성장하는 시기에 본밭에 케일 모종을 옮겨 심어주시면 됩니다.

 

가을 재배의 경우 6월 하순 ~ 7월 하순 사이 육묘 과정을 거쳐 7월 하순 ~ 8월 하순 사이 본밭에 모종을 심어주시면 됩니다.

 

작은 텃밭 경우는 모종을 키우는 과정을 생략하고 종묘상에서 모종을 구입하여 심으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 케일 재배방법

밭 만들기

케일은 토심이 깊고 토양의 보수력이 양호한 토양에서 잘 자라며 사질양토나 점질양토가 좋습니다.

 

케일은 pH 6.0 ~ 7.0의 토양산도에서 잘 자라기 때문에 산성이 강한 토양이라면 모종 심기 3~4주 전에 석회를 넣고 토양을 교정해 줍니다.

 

케일 모종 심기 1~2주 전에 밑거름을 골고루 뿌리고 두둑을 만들어 줍니다.

(1000㎡ 기준 밑거름 양: 질소20~30kg, 인산25kg, 칼리25~28kg, 석회100kg, 퇴비3,000kg, 토양살충제5kg)

(질소질 비료를 너무 과다하게 주면 세균성 썩음병의 발병이 증가할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케일은 2줄 심기로 진행하며 두둑너비는 100~120cm, 두둑 사이 간격은 30~40cm. 두둑 높이는 30cm가 적당합니다.

 

케일은 수분이 많이 필요하기 때문에 흑색비닐로 멀칭 해주면 토양의 수분 보수력이 향상되고 잡초 발생을 억제할 수 있습니다.

 

 

아주심기(모종 심기)

케일은 파종하여 육묘과정을 거친 모종이나 육묘상에서 구입한 모종을 본밭에 심어주어야 합니다

 

케일 모종의 포기 간격과 줄 간격은 40cm가 적당합니다.

 

케일 모종을 심을 구덩이를 만들고 구덩이에 물을 충분하게 넣어주고 심어줍니다.

 

케일 모종의 상측면이 지면과 수평이 되도록 얕게 정식하며 모종 측면과 토양 사이에 틈이 생기지 않도록 부드러운 흙으로 가볍게 복토해 줍니다.

 

모종을 심고 뿌리가 흠뻑 젖을 정도록 충분한 물 주기를 해줍니다.

 

 

물 주기

케일은 수분을 좋아하는 작물로 충분한 수분을 공급해 주어야지 즙이 많고 맵지 않으며 부드러운 케일을 수확할 수 있습니다.

 

케일은 모종을 심고 뿌리가 조기에 활착 할 수 있도록 자주 물을 주어야 하며

토양을 촉촉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날씨와 토양 상태를 고려하여 일주일에 1~2번 충분한 물 주기를 해주면 됩니다.

 

반면, 많은 강우가 있을 때 배수불량으로 토양이 너무 과습 하게 되면 각종 병해의 문제가 발생하고 초기생육에 문제가 될 수 있으니 항상 배수관리가 첫 번째로 중요합니다.

 

 

웃거름 주기

케일은 기온이 내려가서 잎이 얼어버리는 시기까지 수확이 가능하고 재배기간이 긴 작물이기 때문에 웃거름이 필요합니다.

 

봄 재배의 경우 여름장마가 지나가면 1번 웃거름을 주고 가을재배의 경우 생육상태에 따라 10월 초순 ~ 10월 중순 사이에 웃거름을 주는 것이 좋습니다.

 

웃거름은 포기로부터 15cm 정도 떨어진 곳에 깊이 10cm 정도에 복합비료 1숟가락을 넣어줍니다.

 

웃거름을 주고 주변의 흙으로 가볍게 복토를 해주고 충분하게 물을 주면 됩니다.

 

 

병충해 방제

케일은 양배추 병충해 방제와 비슷합니다.

가을재배의 경우 봄 재배의 비해 병해충 피해가 다소 적기 때문에 기르기가 수월합니다.

주요 병해 무사마귀병 부패병 뿌리썩음병
증상 병원균이 활몰기생하며 혹 조직내에 휴면포자를 형성함

피해를 받은 조직이 파괴되면 1개의 편모를 갖는 유주자가 발생하여
뿌리털을 통해 식물체내로 침입함
봄 재배와 월동재배에서 주로 발생

여름철과 가을철 재배시 발생이 심함

어린줄기에 회백색 병반이 형성되면서 뿌리쪽으로 퍼지면서 시듬 현상 발생
방제방법 내병성 품종 선택

'혹안나'를 300평에 20kg 살포

석회를 넣어 pH6.0~7.0으로 유지
추운 해에는 피복 배수에 신경을 쓰고 발병된 포기는
바로 제거

 

 

주요 병해 무름병 균핵병 검은썩음병
증상 고온다습한 환경과 장마 후 많이
발생함



질소과다와 배수불량으로 발생
상추나 콩 등의 후작에서 발생하기 쉬움

흐린 날이 지속되거나 비가 온
이후에 발생하기 쉬움
비가 많이 온 이후에 발생이 심함

어린묘에서 발생하며 떡잎부터 흑변하며 고사함
방제방법 배수에 유의

동수화제 500배액이나 마이신류를 비가 온 후에 살포

발병된 포기는 바로 제거
결구개 시기에 로브랄, 스미렉스 등 살포 비가 지속적으로 온 이후에 동수화제, 보르드액을 살포

 

 

주요 충해 배추좀나방 도둑나방 배추흰나비 양배추가루진딧물
증상 잎 뒷면에 기생하여 표피만 남겨 놓고 식해함 먹는 양이 많은 벌레로 생육을 억제시킴 봄과 가을에 주로 발생하며 잎을 식해함 잎의 뒷면에서 즙액을 흡즙하여 생육을 나쁘게 함

각종 바이러스병의 원인
방제방법 슈리사이드, 란네이트 등 유묘기부터 살포하여
초기부터 예방
사이아녹스, DDVP, 다이아지논 등을 정식 초기에 살포 DDVP나 일반 살충제로 살포 델타린유제 1000배액이나 아시트수화제 1000배액을 수확 2주전에 살포

 

 

 

반응형

댓글